본문 바로가기

2019/095

2019.9 (이병찬, 김수현, 이현배, 바디스캔들, 고현정, 제3의과제전, 정현두, 인왕산프로젝트 유서산기, 장종완 장준호, 김다움, 나는 누구인가, 주의깊게 보지 마시오, 생태 감각, 광장, 김순기, .. 김한나 작가 미팅을 위해 부천에 간 김에, 10월 중순에 전시하게 될 부천아트벙커39에 들렀다. 원래 쓰레기를 태우는 소각로였다고 하는데, 2018년 8월에 문화예술공간으로 새로이 문을 열었다고 한다. 1층에 카페가 꽤 넓고 멋지게 만들어져 있어서인지, 낮시간을 즐기는 사람들로 붐볐다. 소각장 장비를 컨트롤하는 중앙제어실.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김수현 Under the Lights: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파라핀 왁스를 열전구로 녹여 방울로 떨어뜨리는 과정을 통해 석순을 닮은 유기체 조형물을 만들어낸다. 과정을 찍은 사진 작업도 있고.. 실제로 제작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해놓은 방도 있었다. 이병찬, 표준모형 거대한 비닐로 형상을 만든다. 엄청 큰 설치. 벙커 .. 2019. 9. 20.
[후기] <제3의 과제전> 내부 워크숍(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 2019.9.4) 올해로 3회째를 맞은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의 은 격년제로 진행되는 행사로, 미술대학교 4학년 및 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공모로 이루어진다. 학예팀은 전국 32개 대학 지원자 172명 중 최종 5명을 선정하였고, 선정 작가들은 전시를 통해 폭넓은 미술계 관객에게 각자의 작업을 선보이게 된다. 기존의 참여 작가들에 비해 점차 더 현장에서의 활동 경험이 있는 작가들이 선정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전시공간의 큐레이터와 함께 일 해본 경험은 많지 않았기에, 스튜디오 방문, 작품 선정 및 디스플레이, 프레젠테이션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전시를 만드는 데 필요한 과정을 모두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참여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으리라고 본다. 또한 사루비아다방이라는 대안공간이 가진 역.. 2019. 9. 9.
[인터뷰] 사적인 이야기로의 초대: 함혜경 작가 인터뷰 함혜경의 영상은 화자가 친구와 나누는 대화 내용과 같은 ‘이야기’를 큰 축으로 가지고 있기에, 미술에 문외한인 사람이 보아도 어렵지 않게 빠져들 수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언제, 어디에서 찍은 영상인지, 누구의 이야기인지, 그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매 순간의 느낌, 삶을 향한 태도 등은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외국어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내레이터와 한글 자막, 서정적인 음악과 영상은 일상을 특별하게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하며,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동시대 관객들은 행복, 사랑, 예술, 노동, 자유, 성공 등에 관해 숙고해볼 시간을 가진다. 누군가에게 건네는 화자의 말 작품에서 이야기의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부탁합니다. 저는 제 자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실제.. 2019. 9. 6.
[전시서문] 김서울 개인전 <Uncolored> (아트딜라이트, 2019.9.5~28) 조건-특정적 회화 미술의 역사에서 추상미술(Abstract Art)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것에서 벗어나 심적 주관성을 표시하는 미술로, 재현미술에 상대되는 의미로 구분되어 왔다. 20세기 초반의 추상미술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관한 유토피아적 열망을 반영하고 있지만, 전후 미국에서 이뤄진 추상 실험은 현실과 구분되는 순수한 미술, 형식주의 미학으로 수렵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추상미술은 ‘차가운 추상’과 ‘뜨거운 추상’으로 분류해볼 수 있는데, 전자가 기하학적이고, 이성과 합리, 과학적 사고를 중시하며, 정형적 성격을 띤다면, 후자는 서정적이고, 감정과 정서를 중시하며, 비정형적인 특성을 가진다. 김서울의 첫 번째 개인전 에서 선보이는 시리즈는 서양 현대미술사에서 접해 온 추상.. 2019. 9. 5.
[전시리뷰] 다름을 인정하는 방법 <토끼가 거북이로 변신하는 방법>(니콜라이쿤스트홀, 2019.6.28~9.8) 올해는 한국과 덴마크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양 국가 간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 예술 프로그램이 기획되었다. 그 중에서도 덴마크 코펜하겐의 니콜라이 쿤스트홀(Nikolaj Kunsthal)에서 열린 전시 을 살펴보려고 한다. 우리가 덴마크에 관해 아는 것을 떠올려보면, 덴마크 요구르트나,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 정도임을 감안해볼 때, 그들 역시 미디어에서 조명하는 상징적인 이미지 몇 가지로 한국을 이해하고 있을는지도 모른다. 표피적이고 파편적인 방식의 교류나 이해를 넘어서기 위해, 이 전시를 공동 기획한 니콜라이 쿤스트홀 큐레이터 힐린느 뉘복 베이(Helene Nyborg Bay)와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디렉터 김인선은 상호 국가를 서로 방문하며 서로에 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힐린느 .. 2019.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