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히폴리토 <2018 set_04> 전시 설치 전경
토마스 히폴리토의 작업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가 “나의 작업은 의미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처럼, 전통적 의미에서의 미술 작품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능한다. 전시의 제목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인덱스처럼 작동할 뿐, 개별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작가의 홈페이지(www.tomzahipolito.net)에는 지금까지 지속해 온 여러 시리즈 작업이 충실하게 아카이브되어 있다. 각 전시, 작품이 제작된 년도 뒤에는 다음과 같은- set, persona, meat, paper, merge, object, map, diorama, draw, Level-시리즈 명이 기재되어 있고, 그 시리즈 중에서 몇 번째로 이어진 것인지 명기하는 숫자가 뒤 이어 적혀 있다. 다시 말해, 히폴리토의 이번 전시 역시, 지금까지 작가가 쌓아온 일련의 시리즈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보지 않으면 그 의미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2018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열리는 전시의 제목은 <2018 set_04>이다. set는 두가지 이상의 이전 시리즈가 결합된 경우에 붙이는 이름이다. <paper>, <merge>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업이기에 이러한 타이틀이 붙었다. paper 시리즈는 말 그대로 종이를 활용한 작업을 의미하고, merge 시리즈는 직역하면 합치다는 뜻을 가지는데, 여러 층위의 재료를 사용해 복수의 레이어를 만드는 작업을 뜻한다. 이 두 가지의 시리즈가 결합된 이번 전시는 종이를 이용하여 여러 층위를 보여준다.
한국에 오기 전까지 종이를 활용해서 무언가를 하겠다는 계획 이외에는 특별한 계획이 없었다는 작가는, 자신의 몸을 도구로 활용하여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그것에 반응하는 작업을 한다. 공간에 개입하고 변화시키는 작가 특유의 ‘제스처’가 곧 그의 작품인 것이다. 주변 환경 전반을 포함한 공간, 그리고 그것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자신의 몸, 이 두가지만 있으면 히폴리토는 작업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가는 자신이 머무르는 곳 그 어디에서라도 끊임없이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데 몰두한다. 비록 대중에게 모두 공개하지는 않지만, 2015년에 경기창작센터에서 3개월 동안 머무르면서 대부도를 비롯한 주변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진행한 작업 시리즈도 여러 개이다.
토마스 히폴리토는 포르투갈에서 자신의 작업실을 오픈 레지던시로 운영하며, 전 세계 곳곳에서 온 다양한 작가들을 짧게는 1달부터 길게는 6개월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작가는 이러한 장치를 통해 스스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다. 그의 작업실-레지던시에 머물렀던 작가 중 도예 작업을 하는 한국 작가, 이헌정과의 인연으로, 이번에는 히폴리토가 양평에 위치한 그의 작업실에서 머무르며 윌링앤딜링에서의 전시를 준비했다.
양평에 머무르게 된 히폴리토는, 포르투갈과는 다른 한국의 가을 풍광에 깊이 매료되었다. 히폴리토는 빨강과 노랑, 초록과 갈색의 화려하면서도 소담한 자연이 만들어낸 색깔을 따라 매일같이 산과 들판을 오가며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였다. 종이를 이용한 신작을 하겠다는 큰 계획만을 가지고 한국에 온 그는, 양평에서 자신이 발견한 재료들과 그곳에서 느낀 감각을 활용해 신작으로 전시를 구성하게 되었다.
전시장으로 들어오려면 나뭇가지와 종이 빨대를 가득 쌓은 통로를 지나와야만 했다. 마치 숲에서 거니는 것처럼, 전시 관람을 원하는 관객이라면 누구나 수북이 쌓여있는 나뭇가지들을 밟아야만 했다. 전시를 보러 온 관객은 모두 잠시나마 인공적으로 잘 다듬어진 길, 건물 공간이 아닌, 자연에서 거닐면서 느끼게 되는 일종의 불편함을 겪게 된다. 전시장 입구 통로에는 숲에서 직접 주워 온 나뭇가지뿐만 아니라, 종이로 만든 얇은 빨대가 함께 놓였는데, 이는 나무라는 같은 원료로 만든, 하지만 인간에 의해 다른 방식의 모양과 쓰임을 얻은 오브제를 함께 배치하였다.
계단을 따라 전시장으로 올라오게 되면 자연의 정취를 더욱 깊게 느낄 수 있게 된다. 작가는 나무의 껍질과 결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실제 나무조각, 다듬어진 나무, 합판과 종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된 나무를 공간 안에 차곡차곡 쌓아 두었다. 공간을 종이 삼아, 나무를 연필 삼아, 전시장 안에 드로잉을 한 것이다. 노란 빛의 조명을 한쪽에만 비추어, 자연스럽게 그림자가 만들어지고, 관객이 어느 방향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다른 뷰를 만들어냈다. 사방에서 그가 쌓아놓은 나무-드로잉을 관객 역시 자신만의 방식으로 ‘경험’하게 된다.
다른 쪽 벽에는 실제 나무 위에 종이를 꽂아 사진으로 촬영한 영상 작업 <나무(Arvores/Trees)>를 상영했다. 실제로 숲에 들어가서 나무의 틈 사이에 흰 종이를 일시적으로 꽂은 것이다. 아슬아슬하게 나무 사이에 꽂혀있는 종이는 바람이 불면 날아갈 듯 임시적으로 그 위치에 놓여졌다. 전시장 가장 안쪽의 벽에는 양평 스튜디오에서 바라본 단풍나무 숲 영상 <layer>를 프로젝션했다. 스틸 사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찍은 영상이다. 섬세한 눈을 가진 관객이라면 구름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이것이 사진이 아닌 영상임을 알 수 있다. 영상 프로젝션 위에는 절반 정도를 이헌정 작가가 도예 작업을 할 때 쓰는 나무 받침대를 벽에 매달아 두었다. 나무로 만든 또 다른 오브제인 것이다.
오프닝 리셉션이 있던 날에는 작가가 직접 퍼포먼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영상 프로젝션 위, 나무반침대 위에 종이를 붙이는 퍼포먼스였다. 위 아래로 검정색 옷을 입은 작가는 A4용지를 물에 푹 적셔 벽면 위에 붙였다. 흰 종이 덕분에 배경의 풍경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시간이 지나 수분이 증발하게 되면 낙엽과 같이 종이는 다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히폴리토는 나무로 만든 여러 재료들을 활용해 작품을 만든다. 그는 종이나 합판, 종이 빨대와 같은 나무를 원자재로 하여 제작된 제품들을 가지고 전시장 안을 재구성한다. 가장 자연에 근접한 풍경을 사진이나 영상과 같은 매체를 활용해 전시장 안으로 옮겨놓고 그만의 방식으로 그안에 직접 개입하는 시도들을 펼쳐 보인다. 이 모든 것은 작가와 관객 모두 각자가 자신만의 다른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다. 고정된 하나의 형태를 처음부터 끝까지 작가가 마치 피조물과 같이 만드는 과정 대신, 히폴리토는 자신의 몸과 주변환경에서 구할 수 있는 기성 오브제를 활용해 공간 안에 개입하고 또 감각적으로 자신이 느낀 것을 재구성해낸다. 작가 특유의 위트와 기발한 상상력으로 당연하고 일상으로 여겼던 우리 주변을 새로운 눈으로 다시 볼 수 있는 기회다.
It is true that one might find it difficult to immedia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omaz Hipólito’s works. As he has mentioned, "My work is not meant to produce meaning," his works work in a different way from the art work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title of the exhibition also works like an index, and it does not have any meaning individually. The artist's homepage (www.tomzahipolito.net) has faithfully archived various series of works that he has been working on. Titles of his exhibitions are consisted of 1) the year in which each exhibition was held and work was created, 2) the names of the series-such as set, persona, meat, paper, merge, object, map, diorama draw, and 3) series number. In other words, his works can be understood better if you have an access to his previous works.
The title of the exhibition which was held at Space: Willing N Dealing in 2018 is <2018 set_04>. <set> is a name when two or more previous series are combined. Since he combined <paper> and <merge> series, He used the name <set> for this exhibition. The <paper> series literally means he makes something by using paper, and the <merge> series means creating multiple layers using different materials. This exhibition <2018 set_04>, which combines these two series, shows several different layers by making use of paper.
Hipólito, who had no specific plan for this exhibition until he came to Korea, other than to use paper and to make use of his own body as a tool, explo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acts to it. His unique 'gesture' intervenes and transforms into space in his work. He always works with the space including the whole environment, and his own body that recognizes and accepts it. That is why Hipólito constantly devotes himself in producing new works wherever he stays. Although they are not publicly available, there are several series of works that have been created while he stayed in the Gyeonggi Creation Center in 2015 for three months. His works are all created in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Daebu Island.
Tomaz Hipólito opened
his studio in Portugal as an open residency and has created a system that
allows various artists around the world to stay there from one month to six
months. He not only constructs but also utilizes the international network. A
Korean artist, Lee Hunchung, who is working on pottery stayed at Hipólito’s residency,
invited Hipólito to stay in his Yangpyeong
atelier and prepare for the exhibition at Willing N Dealing.
Having stayed in Yangpyeong, Hipólito was deeply fascinated by the autumn scenery of Korea,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Portugal. He enjoyed the autumn mood through the mountains and fields every day, following the red, yellow, green, and brown colors created by nature. He came to Korea with a plan to make new works using paper, and he decided to make this exhibition using the materials he discovered in Yangpyeong and the sense he felt there.
In order to enter the exhibition space, every visitor had to go through a passage full of twigs and paper straws. As if you were walking in the woods, all the visitors would feel a kind of inconvenience walking in nature, not in artificial well-laid roads and building spaces. In addition to the branches picked up directly from the forests, a thin straw made of paper was placed in the entrance to the exhibition space, which was made from the same material, the wood.
If you come up to the exhibition space along the stairs, you can feel the natural more. Hipólito piled up pieces of tree that has been trans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real wood with the bark and texture of the tree remaining intact, trimmed wood, plywood and paper. He treats space like a paper, a tree as a pencil, and makes drawings within the space. Yellowish light is shed on one side, and the shadow is made naturally, and the view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ewer sees. The audience will ‘experience’ the tree-drawing in his/her own way.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a set of photos edited in a video work <Árvores/Trees> were photographed with a paper on a real tree. Hipólito actually went into the woods and put a piece of white paper between the gaps in the trees temporarily. The paper, which was pinched between the trees, was placed in that position as if it were at any moment can be blown by the wind. On the innermost wall of the exhibition space, <layer> was projected. A video of maple forest from Yangpyeong Studio looks like a still image, but it is actually a video with slight motions. If you have a sharp eye, you can see that this is not a picture by the fine movements of the clouds. About half of the video projections area, wooden pedestals used by Lee Hunchung’s pottery works were hanged on the wall. It is another object made of wood.
On the day of opening reception, Hipólito showed a performance. It was a performance that puts paper on top of the projected image, and wooden pedestals. Wearing all in black, Hipólito wet the A4 sized paper in the water and put it on the wall. Thanks to the white paper, the scenery of the background becomes clearer, and when the water evaporates over time, the paper falls back to the ground like a fallen leaf.
Hipólito uses various materials made of wood to make works. He reconstructs the exhibition space with products made from wood, such as paper, plywood, and paper straw. Scenes of nature is brought into the exhibition space using media such as photographs and images, and he attempts to directly intervene in it. All of these can be experienced each viewer in his/her own way. Instead of trying to make a fixed crea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Hipólito uses the ready-made objects available in his surroundings to intervene in the space and reconstruct it as he experienced. This exhibition gives an opportunity for us to see our surroundings, which we regarded as ordinary and plain with a unique wit and novel imagination.
'Art > 3.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리뷰] 개인에서 공동체로 : 정아람 개인전 <나를 위한 말하기>(2018.10.5.~25)에 나타난 협력의 제스처 (0) | 2018.12.17 |
---|---|
[전시리뷰] 정아람 개인전 <나를 위한 말하기> 2018.10.5-25 (0) | 2018.11.17 |
[도록] 2017 인사미술공간 미술주간프로그램 <막간>(2017.10.13~21) (0) | 2018.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