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3. 리뷰

[전시리뷰] 무엇을, 어떻게, 왜: 전병구 개인전 <Afterimage>(스페이스윌링앤딜링, 2017.10.13~11.2)

by ㅊㅈㅇ 2017. 11. 1.

전병구 <Untitled> 40.9x53cm oil on canvas 2017

무엇을, 어떻게,

: 전병구 개인전 <Afterimage>(스페이스윌링앤딜링, 2017.10.13~11.2) 리뷰

 

전병구 작가의 첫 번째 개인전인 <Afterimage>를 보기 위해 전시장에 들어서면 약간 썰렁(!)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작품의 크기가 작고, 작품 수도 아주 많은 편은 아니라 멀리서 한 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형태의 전시는 아니기 때문이다. 관객은 작은 크기의 작품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마치 자석에 이끌리는 쇠붙이처럼 작품 앞으로 자연스럽게 이끌려 간다. 작품이 담고 있는 개별 이야기와, 그것을 이미지로 구현할 때 활용하는, 캔버스 바닥이 살짝 느껴질 정도의 얇은 붓놀림을 차근차근 살피면서 전시장을 몇 차례 돌고 나면, 작가가 붙인 전시의 제목처럼 그 잔상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된다.

회화 작품을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무엇을 그렸는지일 것이다. 그런데 전시 출품작에서 하나의 회화적 주제를 발견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작가가 직접 밝혔듯이, 그는 직접 찍은 사진, 영화의 스틸 컷, SNS에서 발견한 사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모으고, 그 중에서 작가에게 영감을 준 장면을 선택,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작품을 제작한다. 전병구가 회화에서 활용하는 소재는 매우 파편적이며, 실제 이야기와 거리를 둠으로써 팩트 자체를 전달하는 것보다도 전병구라는 필터를 통과하며 재구성된 현실을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둔다. 주차장에 덩그러니 세워져 있는 검은 승용차 한 대, 겹겹이 포개져있는 산등성이 사이로 살짝 보이는 굴뚝의 연기, 지하철 역내의 벽으로 보이는 곳에 기대어 고개를 숙인 남자, 까마귀 한 마리 등 그가 그리는 소재는 작가를 둘러싼 일상 그 자체다. 동시대인이 이미지를 접할 수 있는 모든 방법-직접 경험, 사진, 인터넷, 영화-을 동원하며 도시 곳곳의 풍경, 인물, 동물이나 식물, 영화의 한 장면 등을 회화의 소재가 될 이미지를 선별한다. 일관된 주제의식이나 방향성을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그가 포착한 현시대의 이미지는 조용하거나 외롭고, 춥고, 느릿한 속도감을 전달한다.

무엇을 그렸는지만큼이나 회화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렸는지일 것이다. 이번 전시가 첫 번째 개인전임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대학 졸업 이후 5년 여의 시간 동안 많은 작품을 그렸다. 특히 <스펙테이터>(신한갤러리, 2017)에서는 <1996> 시리즈를 비롯한 이전 작업을 출품하기도 했는데, 이 시리즈에서 전병구가 하나의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세밀하게 묘사하는 데 집중했다면, 현재는 대상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훨씬 자유로워진 듯 보인다. 작가는 입체감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착하지 않고, , , 질감 정도로 구분하여 빠른 속도로 화면을 채워나갔다. “기름이 마르기 전에 한 번에 그리기” “겹치지 않기” “하루 이틀 안에 한 작품 완성하기와 같이 작가가 스스로 만든 규칙에 맞춰 표현 방식이 바뀌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표현방식은 변화된 주제 의식과도 잘 어울린다. 일상에서 마주한 다양한, 파편적인 장면의 인상을 전달하기에는 붓질에서 전달되는 빠른 속도감, 물감의 얇아진 두께감이 꼼꼼한 묘사 방식보다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전병구 회화의 특징적인 요소를 한 가지 더 꼽자면, 은은하게 누그러뜨려진 색감일 것이다. 강렬한 원색 대신 다운된 톤의 색채는 그의 회화를 빛바랜 사진처럼 보이게 하며 서정적 분위기를 더한다.


 

전병구 <Untitled> 53x72.7cm oil on canvas 2015

전병구 <비가 개다 The Rain Ceased> 53x72.7cm oil on canvas 2016


무엇을어떻게를 잇는 다음 질문은 아마도 일테다. 그렇다면 작가는 왜 이런 장면들을 캔버스 위에 옮기는 것일까? 텔레비전, 인터넷, 영화, 광고. 우리는 매일 셀 수 없이 많은 이미지를 마주하고 소비하며 산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 접속하기만 해도 지인들이 보고 듣고 느끼는 세상까지 모두 간접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세상이다. 여러 사람의 게시물로 이어지는 피드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며 새로운 사진과 글, 정보로 대체된다. 이 같은 삶 속에서 작가는 한 박자 쉬어가기를 시도한다. 자신에게 잔상처럼 남은 이미지를 전병구라는 프리즘에 투과해 다시 반사시키고, 그것을 캔버스 위에 옮긴다. 이후 전시장에 걸린 그의 작품은 관객을 만나 다시 한 번 굴절되고, 예상하지 못한 누군가에게 또 다른 잔상으로 남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과 함께 느리게 걸어보기를, 혼자 생각하는 시간을 갖기를, 한 떨기 진달래, 한 마리 까마귀를 바라보며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벅찬 순간들을 충분하게 누리기를 제안하는 것 같다.

작가는 여러 차례 회화 작품 내에서 이야기가 꼭 필요한가에 관해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원과 선으로 이뤄진 패턴을 그린 <Untitled>(2017)에서 그의 관심이 이야기를 담은 회화에서 근원적 요소들의 실험의 장으로서의 회화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상을 바라보는 섬세한 시각이, 그것을 표현하는 서정적인 표현방식이, 회화의 기본적 요소를 다루는 추상적 회화 표면에서는 어떻게 발현될지 궁금해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