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0. 메모

근황

by ㅊㅈㅇ 2021. 10. 27.





출산하고 난 뒤에는 내가 주도적으로 내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 어렵다. 사실 그 이전에도 돈을 전혀 벌지 못하는데 무언가를 계속 하는 것에 약간은 회의를 느끼고 있던 터였다. (기금을 받아 전시를 기획하는 일이 대표적이다. 작가는 작품이 남지만 기획자는 경력 한줄, 도록 몇권이 남는다) 돈을 벌지 못하는 정도로 그치면 다행이지 대부분 내 돈을 더 써야한다. 여하튼 아이가 생기고 나서는 시간을 쓰는 것이 더욱 자유롭지 않아서 즉흥적으로 뭔가를 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올해 초 신기하게도 웹진 예술경영에서 연락을 받고 편집위원을 하게 되어 한달에 한번 혜화 사무실에 나가 기획회의를 한다. 연극 공연 행정 등 다른 분야 분들과 이야기하는 시간이 참 즐겁고 재충전이 된다. 나랑 대략 10살 정도 차이가 나는 분들과 함께하게 되는데 그들은 정말 '젊은 어른'들이다. 생각도 열려있고 내 말도 경청해주는. 덕분에 나도 새소식들을 놓치지 않고 숙지할 수 있어서 좋다. 미술 바깥의 다른 예술 분야 사람들과 얘기하면서 오히려 더 숨통이 트이는 느낌도 든다. 내가 참 우물안의 개구리였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그 외에는 기금을 받아 개인전을 하는 작가들의 전시서문이나 전시리뷰를 쓰는 일을 한다. 너무 비용이 적게 책정되어 있거나 시간이 촉박한 경우, 도저히 쓸 말이 없을 것 같은 경우 아니면 대부분 수락한다. 나는 비평가가 아니다. 그래서 '좋은 미술'에 대한 기준이 명확한 편은 아니다. "취향에 맞지 않아서 자신의 작업을 싫어할 줄 알았는데 수락해줘서 고맙다"는 얘길 작가로부터 종종 듣는다. 내가 기획한 전시에서 다루어 온 작가들의 작품의 유사성이 있기는 하지만 나는 그것만이 옳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삶을 바쳐서 작업을 하는 사람은 모두 대단하고 존경받아야 마땅하다는 생각을 한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장점이 다 있다. 또 작가보다 큐레이터는 관심사의 덩어리가 여러개 일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물론 작가도 자신의 작업 시리즈를 살펴보면 관심사가 여러 갈래가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주제만 깊게 파는 큐레이터도 있을 수 있겠지만, 사실상 한 기관에 소속되어 있다고 한다면 여러 기획전을 계속해서 만들어내야하고 그러다보면 여러 주제, 여러 층위의 작가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메일로 포트폴리오나 이미지를 받아보고는 그 작가에 대해서 잘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자료 상으로는 매력적이었으나 실제 만났을땐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고, 반대로 자료상으로는 그냥 그래보였으나 만나보니 정말 좋았던 경우도 있었다. 유명세는 정말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정말 잘 알려져있고 유명해서 내가 아는 수많은 사람에게 글을 받은 사람의 글을 쓰는 일이 더 어렵다.

사는 게 바쁘다 보니 막역한 지인들도 만나는 게 힘들다. 일 대 일로 만나는 일은 더더욱 흔치 않다. 작가와 작업실에서 일로 만나게 되면 자신의 삶의 엑기스를 담은 작업에 관해 이야기하는 퀄리티 있는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래서 가끔 기가 빨리기도 하고 지치기도 한다. 인풋이 너무 많아서. 그래도 너무 기쁘고 재밌다. 난 누군가를 만나고 알아가는 게 천성적으로 즐겁고 그 속에서 에너지를 얻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원고료가 입금되면 글이 팡팡 나오는 사람이면 편하려나 싶지만 나는 그렇지가 못하다. 사실상 내가 쓸말이 떠오르지 않고 감흥이 오지 않으면 내 기준으로 내 글이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도 있다. 반대로 어떤 경우는 너무 신이나서 한숨에 쭉 글을 쓰게 되기도 한다. 이럴땐 진짜 너무 행복하다. 나는 글을 그렇게 잘쓰는 편도 아니고 통찰력이 엄청 난 사람도 아니고 하면 할수록 글쓰는 일이 어렵고 시간도 많이 들지만 이런 순간들이 있어 계속 하게 되는 것 같다.

완전 소설이나 수필처럼 작업과 좀 분리된 글을 쓰는 사람도 있고, 아예 철학이나 미술사 맥락처럼 큰 이야기들을 가져다 붙여서 글을 쓰는 사람도 있는데, 나는 둘 다 하는 사람이 아니다. 작품이 가장 먼저고, 그 다음은 작가고 그걸 내가 이해한 대로 쉽게 해설하는 글을 주로 쓴다. 내 글에 관해 들은 긍정적인 평가는 "글이 쉽게 읽힌다"라는 게 주 다. 있어보이는(?) 글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애초에 나를 찾지도 않는다. 

누군가가 나를 선택하고 돈을 지불하고 글을 쓸 시간을 주었기 때문에 펑크를 내는 일은 없다. 내 글이 나의 마음에 들지 않아도 되도록 기한을 지켜 '납품'을 한다. 내가 하겠다고 한 거니까 내 말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거다. 매번 다 만족스러울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어쩔 수 없는 부분은 끌어안고 넘어간다. 그리고 전부 내 블로그에 모아둔다. 부족한 나도 나라고 생각하며.. 글 퀄리티가 좀 들쑥날쑥하다고 느끼더라도 시간이 더 지나면 그런 편차가 줄어들겠지 하는 희망으로.. 우상향 그래프면 되는거 아니겠나..

프리랜서에게 일이 들어오는 경위는 대개 소개를 통해서다. 소위 알음 알음 이루어지는 것이다. 작가들은 누가 어떤글을 쓰고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어디선가 글을 읽고 좋은 인상을 받았거나, 믿을 수 있는 사람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일반적으로 선택한다. 그러다보니 나도 예의를 지켜 좋은 관계로 남고 싶은 마음이 크다. 내 글을 하나도 읽어보지 않고 연락을 주는 사람은 이젠 거의 없는데 가끔 그런 경우에는 결과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떨어지는 것 같다. 레지던시 이런데서 비평워크숍 같은 제도가 있다보니 글 자체보다도 그냥 만나고 싶었던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 위한 다리(?)처럼 원고 청탁이 이뤄지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일로 만나지 않으면 만나기 힘드니까 그런 목적을 갖고 청탁하는 것도 이해는 된다. 

여튼.. 작가들은 큐레이터가 갑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예산이 있고 전시공간이 있는 기관 소속 큐레이터 한정 인것 같고.. 프리랜서는 오히려 작가에게 선택을 당해야하는 입장에 처한 요즘인 것 같기도 하다. 활동을 멈추어서 현장에서 이름이 잘 보이지 않으면 나를 찾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없어지겠지 이런 생각도 한다. 그게 현실이다.

돈을 안 받고 내가 쓰고 싶은 작가를 리서치해서 찾아서 써서 책으로 내는 거 그게 사실 제일 좋겠지. 그건 이제 결과가 훌륭할 경우에 인세라는 큰 보상이 따를 수 있는 일일 거다. 많은 기존 평론가들이 그런식으로 작가론 모음집 책을 내기도 했고.. 근데 내가 좋다고 생각해서 고르는 것과 나에게 다가와서 의뢰해준 것 두가지를 완전히 분리하거나 구분하는 건 어려운 것 같기도 하다. 나는 지금 후자밖에 못하고 있지만.. 전시장 운영할때도 마찬가지로 기획/초대해서 운영하는 것과 대관을 받아들이는 것 이렇게 나뉘는데, 사실 좋은 작가, 전시를 만날 수 있다면 대관도 긍정적일 때도 있다. 그렇지 않을때가 많아서 그렇지.. 그래서 기획/초대인지 대관인지를 명확히 구분하는 곳도 있고, 대관이라 하더라도 까다롭게 선별하고 + 디피나 진행에도 일부 관여해서 공간 스타일에 맞게 조정을 한다는 이유로 구분하지 않는 곳도 있는 것 같다. 지경을 확장한다는 의미에서 공간에서는 공모를 해서 대관할 주체를 선정하기도 하는데,  글쓰기의 경우에는 그건 쉽지 않은 부분인 것 같고. 

예전에 원워크 시리즈 혼자 하고 그럴 때는 아무도 나에게 의뢰를 하지 않았으니 내가 골라서 찾아가서 글쓰고 그랬다. 원고료도 없었고, 미팅하자고 연락해도 거절당하기도 했고. 근데 그것만이 옳고? 그 반대는 그르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는다. 그냥 자연스럽게 흘러가는대로. 상황에 맞춰 할 수 있는대로 하면서 사는 거다.  

가을이라 전시가 참 많다. 전시보며 혼자 여기저기 걸어다니는 시간만큼 행복한 시간이 없다. 그래 내가 이래서 미술 공부하겠다고 했지. 어쩌다가 좋은 작품을 만나면 너무너무 기쁘다. 쓰고보니 한량같네.

'Art > 0. 메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에 관하여..  (0) 2021.11.18
30대 여성 큐레이터/평론가  (0) 2020.08.04
근황  (2) 2020.06.25

댓글